목차
정부에서는 청년들이 취업을 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산 형성과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이 기업에 재직을 하면서 저축을 함께 할 수 있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제도가 있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목돈을 모으기 어려운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
5년 만기가 도래하면 받을 수 있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의 만기시 공제금 받는 방법, 만기 후 소득세 신고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란?
청년들이 중소기업에서 오랫동안 근무를 할 수 있도록 청년 근로자, 기업, 정부가 함께 적립하여 5년 후에 목돈을 만드는 제도입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이용하게 되면 청년 근로자의 경우 안정적으로 목돈을 만들 수 있고, 기업은 청년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4년부터 신규가입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기존 가입자만 만기까지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알아보시던 청년들 중에 중소기업에 재직중이신 분들이라면 내일채움공제의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 근로자가 함께 기여금을 내는 내일채움공제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신청조건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하시려면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의 청년 근로자가 중소기업에서 6개월 이상은 근무를 해야 합니다. 6개월 이상 근무를 했을 경우에 내일채움공제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청년이 군필자의 경우 군복무한 기간에 비례하여 상한 연령이 변동되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최대 상한 연령은 39세 입니다.
기업의 경우에는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벤처기업과 일부 1~5인 기업도 참여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기업에서 임금 체불이 있었거나 산업재해 공표가 된 기업은 가입이 어렵습니다. 또한 부동산업, 주점업, 기타 갬블링 및 배팅업, 무도장 운영업등의 기업은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신청 혜택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하시는 경우에 5년이라는 기간동안 청년근로자와 기업은 매월 일정금액을 납입하셔야 하며, 정부는 3년간 7회로 분할하여 납입을 하게 됩니다.
5년 만기시 받을 수 있는 내일채움공제 공제금은 3,000만원입니다.
청년이 매월 12만원씩 5년간 총 720만원을 납입하게 되고, 기업이 매월 20만원씩 5년간 총 1,200만원을 납입합니다. 정부가 3년간 7회 분할하여 총 1,080만원을 납입하여 이자포함 5년 만기시에는 약 3,000만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경우 내일채움공제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인력개발비 세액공제도 납입금액의 25%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만기시 공제금 신청방법
기존에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가입하셨다면 5년이 지나면 만기가 되어 공제금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내일채움공제의 공제금은 내일채움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하시면 신청완료 후 7일 이내 공제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신청시에는 4대보험 가입증명서가 필요하오니 신청전에 꼭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만기후 공제금 소득세 감면신청
공제금을 수령했다면 소득세 감면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공제금 중에서 기업이 납부한 금액의 50%를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으니 꼭 받으셔서 연말정산 시에 세금부담을 줄이시기 바랍니다.
소득세 감면 신청기간은 공제금을 받으신 후 다음달 마지막날까지 입니다.
소득세 감면 신청시 필요한 서류는 소득세 감면 신청서, 감면 대상 명세서, 만기 공제금 지급 확인서가 있습니다.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청년들에게 너무나 좋은 지원이었던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사업이 지금은 사업일 일몰되어서 신규로 가입을 할 수 없지만, 기존에 가입을 하셨던 분들이라면 잘 유지하셔서 5년후 만기시점에 공제금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공제금을 받으신 다음에는 소득세 신고를 하셔서 연말정산 시 세금폭탄을 맞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